(주)부강테크, 친환경 혁신기술로 하수처리시설 현대화 앞장


- 생물여과기술…부지집약·운영비 저감성과 탁월

- 입찰기준 ‘시설비’ → ‘생애주기비용’ 전환 절실


[국토일보 선병규 기자] 국내 대표 수처리 기업 (주)부강테크(대표 최문진)가 서울 중랑물재생센터 사업 성공으로 하수처리시설 현대화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1976년 외국 기술과 외국 자본으로 세워진 중랑물재생센터는 최근 시민친화적 환경공간으로 재탄생하며 하수처리시설 현대화 사업 아이콘이 됐다.

부강테크는 이 곳에 자사 기술인 생물여과기술(BBF/Proteus)을 적용해 하수처리에 필요한 부지를 60% 이상 절감하고 완전 지하화 하는 데 성공했다. 또한 경제적으로 질소를 제거하는 아나목스 기술을 개발해 국내외 다양한 분야에 선도적으로 적용하는 등 수처리 분야 기술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부강테크가 독자 개발한 2단 반응조(Two-stage) AMX는 세계에서 가장 안정적인 아나목스 기술로 평가받는다.

도시가 팽창하고 하수처리시설이 노후화되면서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하수처리시설 현대화 수요가 창출되고 있다.이에 따라 안정적 수질 확보는 기본이고 부지집약을 통한 지하화와 에너지 생산 및 저감을 통한 운영비 절감이 하수처리시설 현대화 시장에서 핵심 키워드로 떠올랐다.

실제로 세계에서 가장 먼저 하수처리 인프라를 구축한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하수처리시설 현대화 기술 대안으로 획기적인 부지집약 기술인 Proteus와 에너지 저감기술인 아나목스 기술에 주목하고 있고 현재 다수의 파일럿 시설들이 가동 중이다.

부강테크의 Proteus 기술이 적용된 서울시 중랑물재생센터

부강테크의 Proteus 기술이 적용된 서울시 중랑물재생센터

물 산업 분야에서는 최근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4차 산업기술을 접목해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려는 노력들이 진행 중이다. 그러나 시설비 위주의 현행 입찰제도에서는 수질개선이나 운영비 저감을 위한 기술들이 뒷전으로 밀려나면서 기업들의 혁신의지를 꺾는다는 우려가 있다. 30년 기준으로 볼 때 하수처리시설 운영비는 통상 시설비의 1.5~2배에 달한다. 게다가 부담 주체인 지방자치단체조차 운영비에 대한 관심이 낮아 결과적으로 시민들의 세금이 낭비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단독입찰로 수의 계약된 턴키 사업은 운영비가 비싸도 시설비가 싼 기술이 채택되는 경우가 많아 환경기초시설을 준공후 폐해가 더욱 심각하다.

부강테크 최문진 대표는 “20년 넘게 줄기차게 입찰제도 개선을 요구하고 있지만 정부에서는 건설사와 환경회사 간의 밥그릇 싸움 정도로 치부하는 것 같아 안타깝다”면서 “국내 물 산업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도 시설비와 운영비를 아우르는 ‘생애주기비용’(LCC: Life Cycle Cost) 제도로의 전환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생애주기비용은 미국 등 선진국에서 기본 모델로 쓰고 있고, 우리나라도 이미 발전 산업 등 일부에서 채용하고 있다. 환경부는 올해 다양한 물 산업 육성책을 발표했다. 하지만 정책이 결실을 거두기 위해서는 물 산업 현장 최전선에서 뛰고 있는 중소환경기업들의 노력이 사장되지 않도록 입찰제도를 합리적으로 개선하는 정부의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는 목소리다.

최문진 대표는 “이대로 간다면 국내 환경기술기업은 고사할 가능성이 크고 우리는 또 다시 비싼 로열티를 주고 외국 기술에 의존하는 시대로 되돌아갈 수밖에 없다”며 “정책 당국의 사고 전환과 실질적 제도 개선 추진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출처 : 국토일보(http://www.ikld.kr)

미국 Hyperion 하수처리장 Main-Stream에 적용된 부강테크의 AMX기술

미국 Hyperion 하수처리장 Main-Stream에 적용된 부강테크의 AMX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