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에이디-부강테크, 감염병 대응·에너지 자립 하수처리장 공동 개발
- ‘투모로우 워터 프로젝트’ 추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개도국 포함 글로벌 확산형 ‘스마트 인프라’로 주목
투모로우워터가 ‘턴키’ 방식으로 수주한 미국 조지아주 앱솔릭스의 폐수처리장 현장 사진. 투모로우워터
도시 감염병 관리 특화 기업 케이에이디(대표 김성표)와 수처리 전문기업 부강테크(대표 김동우∙최문진)가 ‘투모로우 워터 프로젝트(Tomorrow Water Project)’를 함께 추진하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00일 밝혔다. 양사는 감염병 대응과 에너지 자립이 가능한 미래형 하수처리장 모델을 공동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에 본격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하수처리장은 도시 감염병 차단의 최전선이자, 인류의 보건과 위생을 지키는 핵심 인프라다. 그러나 많은 개발도상국은 하수도 보급률이 30% 미만에 그치고, 높은 유지관리비로 안정적인 운영조차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부강테크는 ‘돈을 쓰는 하수처리장’을 ‘돈을 버는 시설’로 전환하는 모델을 일찍부터 구상해왔다.
2016년 UN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원년, 부강테크는 바이오가스 플랜트, 스마트팜, 데이터센터, 소형모듈원자로(SMR) 등을 하수처리장에 통합 구축하는 ‘투모로우 워터 프로젝트(UN SDG Action #40493)’를 제안하고, 이를 ‘Co-Flow Campus’라는 구체적 모델로 발전시켰다.
하수 속 유기물로 에너지를 생산하고, 질소와 인은 꽃과 식물 재배에, 처리수는 데이터센터와 SMR의 냉각수로 활용해, 기존의 하수처리장을 에너지∙데이터∙경제적 가치가 흐르는 ‘스마트 인프라’로 재정의한 것이다. Co-Flow Campus는 이들 시설의 임대료나 매출 등을 통해 운영비 부담 없이 지속가능한 운영을 가능케 한다.
부강테크는 하수처리장의 새로운 비전과 개도국을 고려한 국제적 리더십, 이를 실현할 기술을 꾸준히 개발∙상용화해 왔다. 그러나 지속가능성만큼 중요한 가치가 하수처리장의 본질인 ‘보건’과 ‘위생’이다. 이 지점에서 만난 파트너가 케이에이디다.
케이에이디는 도시 감염병 감시 분야 세계적 전문가인 고려대학교 김성표 교수가 설립한, 국내 유일의 하수 기반 감염병 감시 전문기업이다. 하수 시료에서 병원체의 유전자 농도를 PCR 기반으로 정량 분석해, 무증상자를 포함한 감염 규모를 선제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기존 임상 기반 감시체계와 달리 사생활 침해 없이 도시 전체의 감염병 확산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또한, UV-LED 기반 유체살균 기술을 상용화해 감시와 제어를 통합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이번 협업은 한국형 지속가능 인프라의 글로벌 확산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로도 주목된다. 한국은 그간 개도국에 공적자금을 꾸준히 지원해왔으며, 최근에는 동남아를 중심으로 중국·일본과의 인프라 수출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단순 하수처리장이 아닌, 에너지·데이터 공급과 감염병 감시 기능을 함께 갖춘 Co-Flow Campus 모델은 도시 환경과 공중보건 개선에 기여하는 동시에 한국의 국제적 리더십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부강테크 최문진 대표는 “기존의 발상을 뛰어넘는 세계 최초의 모델을 성공사례로 만드는 일은 대한민국의 리더십과 경쟁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길”이라며, “데이터센터 사업자가 토지 사용료와 냉각수 사용료를 납부하고, 이를 통해 하수처리장 운영비를 충당하는 방식은 전 세계 어디에도 없다. 이러한 혁신이 현실화되려면 다양한 기업의 협업과 정부의 선제적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케이에이디 김성표 대표는 “양사는 하수처리시설이 단순히 물을 정화하는 공간을 넘어, 도시 시민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전초기지가 되어야 한다는 데 오래전부터 공감해 왔다”며, “케이에이디의 하수 기반 데이터 마이닝 기술과 부강테크의 Co-Flow Campus 모델이 결합되면, 도시의 감염병 대응뿐 아니라 지속가능한 스마트 도시 실현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사 바로가기 >>
[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8185183i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business/11395940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818033000030?input=1195m
[서울경제] https://www.sedaily.com/NewsView/2GWO8YI8Q7
[워터저널] https://www.waterjournal.co.kr/news/articleView.html?idxno=82491
[국토일보] https://www.ikld.kr/news/articleView.html?idxno=318517
[가스신문] https://www.gas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21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