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형 하수처리장 모델, 'Co-Flow Campus' 공개


 
 

부강테크는 한국상하수도협회가 개최한 '국제물산업박람회(WATER KOREA)'에서 Tomorrow Water Project(TWP) 기반의 미래형 하수처리장인 'Co-Flow Campus'를 공개해 주목을 받았다. ‘2023 국제물산업박람회’는 세계 물의 날 정부 기념식 행사와 연계해 지난 3월 21일부터 23일까지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렸다.

 

Co-Flow Campus는 Water AI 기반의 '하수처리장'과 하수 슬러지(찌꺼기) 등 유기성 폐자원을 이용해 바이오가스 등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바이오가스 플랜트', 하수 내 질소와 인, 이산화탄소(CO2)를 활용하는 '스마트 팜', 정화된 하수로 냉각문제를 해결한 '데이터센터' 등을 한 부지에 지어 안정적인 하수처리와 기후변화에 대응하면서 운영 수익까지 거둘 수 있는 최첨단 미래형 하수처리장 모델이다.

 

부강테크는 기존 하수처리장에 부지를 창출하는 기술인 Proteus를 비롯해 유기성 폐자원 통합소화에 필요한 바이오가스 생산기술인 AAD와 경제적인 고농도 질소폐액 처리기술인 AMX, 바이오가스 증산 및 슬러지 감량기술인 열가수분해기술 Draco, 하수를 이용한 데이터센터 냉각기술인 Co-Flow 등 Co-Flow Campus 건립에 필요한 핵심기술을 모두 보유하고 있다.

 

김동우 대표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를 선도하는 선진국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혁신기술에서 우위에 서야 하는 것은 물론 미래 비전과 글로벌 리더십까지, 삼박자를 갖추어야 한다”며 “개도국의 물 문제 해결을 위해 '돈을 쓰던 하수처리장을 돈을 버는 곳'으로 바꾸는 TWP와 그 구체적인 실천모델인 Co-Flow Campus가 환경 선진국들의 하수처리장 시설개선 대안으로도 적극적인 호응을 얻고 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또 “정부가 강력하게 추진 중인 수출증대정책 측면에서도 부강테크의 미래형 하수처리장 모델은 대규모 사업 수주와 매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혁신 아이디어”라며 “국내에서부터 성공사례를 만들어 한국 수처리 기술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고 미국을 비롯한 수처리 선진시장에서 당당하게 경쟁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부강테크는 TWP 기반의 Co-Flow Campus를 통해 개도국에서는 가장 이상적인 하수처리장 건설을 위한 TWP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선진국에서는 '도시의 가치를 높이는 물'을 위해 기존 하수처리장의 제약 변수를 극복하는 리트로핏(시설개선) 사업을 수행해 나갈 계획이다.



 

 
Previous
Previous

6월 1일, '부강테크 창립 25주년' 생일

Next
Next

美 풀무원 공장 이어 SKC 자회사 앱솔릭스 공장 폐수처리시설 턴키 수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