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WP × CFC: 하수처리장의 미래를 설계하다

 

COVID는 벌써 잊었나?



분변으로 배출되는 미생물과 바이러스는 도시 감염병 확산의 주요 원인입니다.
브리티시 메디칼 저널은 백신이나 항생제를 제치고 하수처리(Sanitation)가 과거 160년간 인류 수명 증진에 가장 큰 기여를 했다고 발표했습니다.
Corona virus가 수인성 전염병이었다면 개도국 인구가 크게 감소하였을 것이고, 동토에 얼어 있던 수만 년 전 바이러스가 기후변화로 깨어나 확산될 위험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하수 처리장 보급률이 20%를 밑도는 나라들이 아직도 많습니다.
생명은 소중하지만 닥치지 않은 미래에 대한 준비보다는 오늘 당장 먹고사는 문제가 시급합니다.



"From Cost Stream To Profit Stream"



UN도 SDGs(UN 지속가능개발목표)에서 물과 위생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국경 제한 없이 전파되는 감염병은 국제사회가 공동으로 대처해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수처리가 지연되는 주된 원인은 무엇일까요?
사실 이는 지속 가능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시설비는 국제사회의 지원을 받더라도 매년 들어가는 막대한 유지관리비를 충당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전기가 부족해 자기 집의 전등도 켜지 못하는 나라에서 막대한 전기를 사용해 하수를 처리할 수 있을까요?
우리는 하수를 한 방울이라도 더 처리해야 경제적 이익이 생기는 미래 하수처리장의 새로운 비전인 Tomorrow Water Project(TWP)를 준비하기 시작했습니다.
TWP는 돈을 쓰던 하수처리장을 돈을 버는 곳으로 바꾸어 지속 가능성을 높입니다.


Tomorrow Water Project(TWP)와 Co-Flow Campus(CFC)



우리는 그간 오염물질로 불리던 하수 안에 포함된 물질들의 고유한 특성에 주목했습니다.
하수에는 바이오가스의 원료가 되는 유기물과 비료의 3요소인 질소와 인, 그리고 물이 들어 있습니다.
오염물로 생각되었던 유기물로 에너지를 만들고 질소, 인은 식물을 키우고, 물로 데이터센터나 SMR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합니다.
하수처리장에 데이터센터를 함께 짓고 토지 임대료와 냉각수 공급을 통한 수익을 확보하여 하수 처리에 필요한 비용을 충당합니다.
처리된 물은 인공호수나 하천 유지용수로 활용되어 도시의 가치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미래 하수처리장은 본질 기능인 위생 문제 해결에 더하여 기후변화 대응, 도시가치 증진, 수익 창출이 가능한 탄소중립형 다기능 공간으로 진화해 갈 것입니다.
과거에 더러운 물만 흐르던 하수처리장은 바이오가스 플랜트, 스마트팜, 데이터센터, SMR 등이 함께하는 새로운 형태의 도시 인프라로 재탄생할 것입니다.
하수처리장에 물과 에너지, 데이터, 경제적 이익이 함께 흐르기 때문에 우리는 이 미래 하수처리장의 새로운 전형을 "Co-Flow Campus"라 부릅니다.
Co-Flow Campus는 COVID 이후 부각된 하수를 통한 감염병 감시를 위해 전문 기업들과의 파트너십도 강화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Co-Flow Campus의 실천을 강화하기 위해 UN SDGs 원년인 2016년에 Tomorrow Water Project(TWP)를 공식 이니셔티브(SDG Action # 40493)로 등재하고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
Co-Flow Campus 실제 적용을 위해 개발된 기술들은 속속 상용화에 성공하여 검증을 마쳤습니다.
기존 하수처리장을 Retrofit하여 부지를 만들어주는 Proteus 기술, 유기성 폐자원 통합 소화를 위한 바이오가스 생산 기술(AAD), 경제적인 질소 폐수처리 기술(AMX), 바이오가스 증산 및 슬러지 감량 기술(Draco)과 하수를 이용한 데이터센터 냉각 기술(Co-Flow) 등이 그 예입니다.




Not by size, but by impact!


미래 글로벌 리딩 컴퍼니는 매출 규모나 종업원 수 같은 Size가 아니라 그들이 사회에 만들어내는 Impact에 의해 결정될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Impact는 세상에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비전과 글로벌 리더십, 그리고 이를 실현할 혁신 기술을 동시에 제공할 때 생성됩니다.
BKT와 Tomorrow Water는 지난 30년간 하수처리장에 대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고 이를 현실화할 기술 혁신에 최선을 다해 왔습니다.
여기에 개도국의 위생 문제 해결을 선도하는 리더십을 더해 세상에 공헌하는 Impact maker가 되겠습니다.





 
Previous
Previous

삼성-부강테크 손잡고 'ESG 경영 강화'

Next
Next

걸림돌을 뽑아서 주춧돌로: 민간시장 진출과 배터리 폐수 처리 기술의 미래